정치학
2025. 2 졸업생
이름 | 김인균 (Kim, In Kyun) |
---|---|
학위 | 정치학박사 |
논문제목 | 한국의 국회-대통령 관계와 예산심의 정치 |
이름 | 학위 | 논문제목 |
---|---|---|
김인균 (Kim, In Kyun) | 정치학박사 | 한국의 국회-대통령 관계와 예산심의 정치 |
2024. 2 졸업생
이름 | 장슬아 (Jang, Seol A) |
---|---|
학위 | 정치학박사 |
논문제목 | 미국의 확장적 긴축과 저소득층 주택담보대출 정책 |
이름 | 학위 | 논문제목 |
---|---|---|
장슬아 (Jang, Seol A) | 정치학박사 | 미국의 확장적 긴축과 저소득층 주택담보대출 정책 |
2023. 8 졸업생
이름 | 성예진 (Sung, Yae Jin) |
---|---|
학위 | 정치학박사 |
논문제목 | 한국의 대통령-의회 관계와 "탈의회적" 정책 과정: 대통령의 행정입법 활용을 중심으로 |
이름 | 학위 | 논문제목 |
---|---|---|
성예진 (Sung, Yae Jin) | 정치학박사 | 한국의 대통령-의회 관계와 "탈의회적" 정책 과정: 대통령의 행정입법 활용을 중심으로 |
2023. 2 졸업생
이름 | 정지혜 (Chung, Chee Hae) |
---|---|
학위 | 정치학박사 |
논문제목 | The Rise of New Interest Groups and the Politics of Platform Business: Case Studies of Cryptocurrency Exchanges and Uber in Korea |
이름 | 학위 | 논문제목 |
---|---|---|
정지혜 (Chung, Chee Hae) | 정치학박사 | The Rise of New Interest Groups and the Politics of Platform Business: Case Studies of Cryptocurrency Exchanges and Uber in Korea |
2022. 2 졸업생
이름 | 김태영 (Kim, Tae Young) |
---|---|
학위 | 정치학박사 |
논문제목 | 다자 무역협력의 결정요인 분석 - 힘의 분포, 총이득, 공정성을 중심으로 |
이름 | 윤왕희 (Yoon, Wang Hee) |
---|---|
학위 | 정치학박사 |
논문제목 | 공천개혁과 한국 정당정치의 변화에 관한 연구: 2000년도 이후 국회의원 후보 공천을 중심으로 |
이름 | 학위 | 논문제목 |
---|---|---|
김태영 (Kim, Tae Young) | 정치학박사 | 다자 무역협력의 결정요인 분석 - 힘의 분포, 총이득, 공정성을 중심으로 |
윤왕희 (Yoon, Wang Hee) | 정치학박사 | 공천개혁과 한국 정당정치의 변화에 관한 연구: 2000년도 이후 국회의원 후보 공천을 중심으로 |
2021. 8 졸업생
이름 | 유혜림 (Yoo, Hye lim) |
---|---|
학위 | 정치학박사 |
논문제목 |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난민정책의 정치: 탄자니아와 르완다 비교 분석 |
이름 | 조한나 (Cho, Han Na) |
---|---|
학위 | 정치학박사 |
논문제목 | 한국의 조선산업정책 변화에 대한 정치경제적 연구 |
이름 | 학위 | 논문제목 |
---|---|---|
유혜림 (Yoo, Hye lim) | 정치학박사 |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난민정책의 정치: 탄자니아와 르완다 비교 분석 |
조한나 (Cho, Han Na) | 정치학박사 | 한국의 조선산업정책 변화에 대한 정치경제적 연구 |
2021. 2 졸업생
이름 | 이숙연 (Lee, Sook Youn) |
---|---|
학위 | 정치학박사 |
논문제목 | 동남아시아 군사협력의 전개 : 지역 안보 아케텍처 분석 |
이름 | 학위 | 논문제목 |
---|---|---|
이숙연 (Lee, Sook Youn) | 정치학박사 | 동남아시아 군사협력의 전개 : 지역 안보 아케텍처 분석 |
2020. 8 졸업생
이름 | 송진미 (Song, Jin Mi) |
---|---|
학위 | 정치학박사 |
논문제목 | 합의이슈 정치와 유권자의 선택: 2012년, 2017년 대통령선거에서의 이슈경쟁과 이슈소비 |
이름 | 이재준 (Lee, Jae Jun) |
---|---|
학위 | 정치학박사 |
논문제목 | 중국과 북한의 권력승계 비교 연구: 마오쩌둥과 김일성의 후계 사례를 중심으로 |
이름 | 학위 | 논문제목 |
---|---|---|
송진미 (Song, Jin Mi) | 정치학박사 | 합의이슈 정치와 유권자의 선택: 2012년, 2017년 대통령선거에서의 이슈경쟁과 이슈소비 |
이재준 (Lee, Jae Jun) | 정치학박사 | 중국과 북한의 권력승계 비교 연구: 마오쩌둥과 김일성의 후계 사례를 중심으로 |
2020. 2 졸업생
이름 | 임기홍 (Im, Gi Hong) |
---|---|
학위 | 정치학박사 |
논문제목 | 재난 거버넌스의 정치적 동학: 가습기살균제 참사를 중심으로 |
이름 | 학위 | 논문제목 |
---|---|---|
임기홍 (Im, Gi Hong) | 정치학박사 | 재난 거버넌스의 정치적 동학: 가습기살균제 참사를 중심으로 |
2019. 8 졸업생
이름 | 길정아 (Gil, Jung Ah) |
---|---|
학위 | 정치학박사 |
논문제목 | 한국 유권자의 당파적 편향: 양극화의 미시적 토대 |
이름 | 학위 | 논문제목 |
---|---|---|
길정아 (Gil, Jung Ah) | 정치학박사 | 한국 유권자의 당파적 편향: 양극화의 미시적 토대 |
2018. 8 졸업생
이름 | 김한나 (Kim, Han Na) |
---|---|
학위 | 정치학박사 |
논문제목 | 국회의원의 목표와 상임위원회 활동의 정치적 결과: 제 18대, 제19대 국회를 중심으로 |
이름 | 이경수 (Lee, Kyung Soo) |
---|---|
학위 | 정치학박사 |
논문제목 | 북중관계와 로컬의 정치적 동학: 단둥-신의주 네트워크와 스케일의 정치 |
이름 | 홍지영 (Hong, Ji Young) |
---|---|
학위 | 정치학박사 |
논문제목 | 글로벌 인도적 지원 거버넌스와 규범의 사회화 : 2015년 네팔 지진 사례를 중심으로 |
이름 | 학위 | 논문제목 |
---|---|---|
김한나 (Kim, Han Na) | 정치학박사 | 국회의원의 목표와 상임위원회 활동의 정치적 결과: 제 18대, 제19대 국회를 중심으로 |
이경수 (Lee, Kyung Soo) | 정치학박사 | 북중관계와 로컬의 정치적 동학: 단둥-신의주 네트워크와 스케일의 정치 |
홍지영 (Hong, Ji Young) | 정치학박사 | 글로벌 인도적 지원 거버넌스와 규범의 사회화 : 2015년 네팔 지진 사례를 중심으로 |
2018. 2 졸업생
이름 | 이하경 (Lee, Ha Kyoung) |
---|---|
학위 | 정치학박사 |
논문제목 | 추국장에서 만난 조선후기 국가: 영조와 정조 시대《추안급국안(推案及鞫案)》을 중심으로 |
이름 | 김태경 (Kim, Tae Kyung) |
---|---|
학위 | 정치학박사 |
논문제목 | 북한 '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조선화(Koreanization)' : 문학에서의 당의 유일사상체계의 역사적 형성 |
이름 | 학위 | 논문제목 |
---|---|---|
이하경 (Lee, Ha Kyoung) | 정치학박사 | 추국장에서 만난 조선후기 국가: 영조와 정조 시대《추안급국안(推案及鞫案)》을 중심으로 |
김태경 (Kim, Tae Kyung) | 정치학박사 | 북한 '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조선화(Koreanization)' : 문학에서의 당의 유일사상체계의 역사적 형성 |
외교학
2025. 2 졸업생
이름 | 윤지섭 (Yun, Ji Seob) |
---|---|
지도교수 | 조동준 |
학위 | 외교학박사 |
논문제목 | 냉전기 전략무기 통제협정 체결의 성공요인 - 군사기술균형, 신호전달 변수를 중심으로 - |
이름 | 지도교수 | 학위 | 논문제목 |
---|---|---|---|
윤지섭 (Yun, Ji Seob) | 조동준 | 외교학박사 | 냉전기 전략무기 통제협정 체결의 성공요인 - 군사기술균형, 신호전달 변수를 중심으로 - |
2024. 8 졸업생
이름 | 유신우 (Liu, Xin Yu) |
---|---|
지도교수 | 김상배 |
학위 | 외교학박사 |
논문제목 | 중국의 사이버 안보 전략과 외교: 중국형 복합주권을 통한 국가·정부·국민 3차원 사이버 안보 강화 |
이름 | 이한나 (Lee, Han Na) |
---|---|
지도교수 | 전재성 |
학위 | 외교학박사 |
논문제목 | 남중국해 분쟁과 미·중 포괄적 전략 경쟁 - 미·중 상호작용에 대한 미국의 인식과 대응 - |
이름 | 지도교수 | 학위 | 논문제목 |
---|---|---|---|
유신우 (Liu, Xin Yu) | 김상배 | 외교학박사 | 중국의 사이버 안보 전략과 외교: 중국형 복합주권을 통한 국가·정부·국민 3차원 사이버 안보 강화 |
이한나 (Lee, Han Na) | 전재성 | 외교학박사 | 남중국해 분쟁과 미·중 포괄적 전략 경쟁 - 미·중 상호작용에 대한 미국의 인식과 대응 - |
2024. 2 졸업생
이름 | 변성호 (Byeon, Seong Ho) |
---|---|
지도교수 | 전재성 |
학위 | 외교학박사 |
논문제목 | 혁명 개념사로 본 20세기 한국정치사: 3.1운동부터 4.19와 5.16까지 |
이름 | 어윤아 (Oyuntsetseg Dashnyam) |
---|---|
지도교수 | 김상배 |
학위 | 외교학박사 |
논문제목 | 몽골에서의 한국문화 수용: 네트워크 이론의 시각 |
이름 | 이종진 (Lee, Jong Jin) |
---|---|
지도교수 | 김상배 |
학위 | 외교학박사 |
논문제목 | 미국의 사이버 안보 전략의 형성: 오바마 행정부 시기의 안보화 과정과 사이버 공간의 변환 |
이름 | 쉬만스카 알리나 (Shymanska Alina) |
---|---|
지도교수 | 김상배 |
학위 | 외교학박사 |
논문제목 | 중견국 사이버 안보 외교 전략: 에스토니아, 핀란드, 폴란드, 우크라이나의 사례로 |
이름 | 지도교수 | 학위 | 논문제목 |
---|---|---|---|
변성호 (Byeon, Seong Ho) | 전재성 | 외교학박사 | 혁명 개념사로 본 20세기 한국정치사: 3.1운동부터 4.19와 5.16까지 |
어윤아 (Oyuntsetseg Dashnyam) | 김상배 | 외교학박사 | 몽골에서의 한국문화 수용: 네트워크 이론의 시각 |
이종진 (Lee, Jong Jin) | 김상배 | 외교학박사 | 미국의 사이버 안보 전략의 형성: 오바마 행정부 시기의 안보화 과정과 사이버 공간의 변환 |
쉬만스카 알리나 (Shymanska Alina) | 김상배 | 외교학박사 | 중견국 사이버 안보 외교 전략: 에스토니아, 핀란드, 폴란드, 우크라이나의 사례로 |
2023. 8 졸업생
이름 | 량미화 (Liang, Mei Hua) |
---|---|
지도교수 | 신욱희 |
학위 | 외교학박사 |
논문제목 | 북중소 삼각관계와 북한, 1956-1961: 북한의 상대적 자율성 형성 |
이름 | 지도교수 | 학위 | 논문제목 |
---|---|---|---|
량미화 (Liang, Mei Hua) | 신욱희 | 외교학박사 | 북중소 삼각관계와 북한, 1956-1961: 북한의 상대적 자율성 형성 |
2023. 2 졸업생
이름 | 신경은 (Shin, Kyeong Eun) |
---|---|
지도교수 | 전재성 |
학위 | 외교학박사 |
논문제목 | 전두환 정부 시기 전략 무기 개발 정책의 전환 |
이름 | 지도교수 | 학위 | 논문제목 |
---|---|---|---|
신경은 (Shin, Kyeong Eun) | 전재성 | 외교학박사 | 전두환 정부 시기 전략 무기 개발 정책의 전환 |
2022. 8 졸업생
이름 | 옥창준 (Ok, Chang Joon) |
---|---|
지도교수 | 장인성 |
학위 | 외교학박사 |
논문제목 | 냉전 초기 한국 국제정치 지식의 재구성 |
이름 | 지도교수 | 학위 | 논문제목 |
---|---|---|---|
옥창준 (Ok, Chang Joon) | 장인성 | 외교학박사 | 냉전 초기 한국 국제정치 지식의 재구성 |
2022. 2 졸업생
이름 | 강여린 (Kang, Yeo Rin) |
---|---|
지도교수 | 신욱희 |
학위 | 외교학박사 |
논문제목 | 한일회담을 중심으로 본 냉전기 한미관계: 이승만·박정희의 위협인식·역할구상과 미국의 역할규정 |
이름 | 레이하트만 (Ray Thomas Hartman) |
---|---|
지도교수 | 전재성 |
학위 | 외교학박사 |
논문제목 | The Role of Legitimacy in the CCP's Strategic Thinking: 1927-1953 |
이름 | 지도교수 | 학위 | 논문제목 |
---|---|---|---|
강여린 (Kang, Yeo Rin) | 신욱희 | 외교학박사 | 한일회담을 중심으로 본 냉전기 한미관계: 이승만·박정희의 위협인식·역할구상과 미국의 역할규정 |
레이하트만 (Ray Thomas Hartman) | 전재성 | 외교학박사 | The Role of Legitimacy in the CCP's Strategic Thinking: 1927-1953 |
2021. 8 졸업생
이름 | 김지훈 (Kim, Ji Hoon) |
---|---|
지도교수 | 박성우 |
학위 | 외교학박사 |
논문제목 | God and Man in the Political Philosophy of Hobbes, Kant, Nietzsche-the theological background behind the modern self- |
이름 | 지도교수 | 학위 | 논문제목 |
---|---|---|---|
김지훈 (Kim, Ji Hoon) | 박성우 | 외교학박사 | God and Man in the Political Philosophy of Hobbes, Kant, Nietzsche-the theological background behind the modern self- |
2020. 2 졸업생
이름 | 윤민우 (Yun, Min Woo) |
---|---|
지도교수 | 신범식 |
학위 | 외교학박사 |
논문제목 | 이슬람 테러리즘 위험 증감(增感)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 -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 사례의 시계열 비교 - |
이름 | 지도교수 | 학위 | 논문제목 |
---|---|---|---|
윤민우 (Yun, Min Woo) | 신범식 | 외교학박사 | 이슬람 테러리즘 위험 증감(增感)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 -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 사례의 시계열 비교 - |
2019. 8 졸업생
이름 | 장성일 (Jang, Sung Il) |
---|---|
지도교수 | 전재성 |
학위 | 외교학박사 |
논문제목 | 냉전기 에너지 안보 위기에서 미국의 군사적 수단 사용 조건에 대한 연구 |
이름 | 지도교수 | 학위 | 논문제목 |
---|---|---|---|
장성일 (Jang, Sung Il) | 전재성 | 외교학박사 | 냉전기 에너지 안보 위기에서 미국의 군사적 수단 사용 조건에 대한 연구 |
2019. 2 졸업생
이름 | 윤정현 (Yoon, Jung Hyun) |
---|---|
지도교수 | 전재성 |
학위 | 외교학박사 |
논문제목 | 아세안의 신흥안보 거버넌스: 싱가포르의 다층적 전략을 중심으로 |
이름 | 지도교수 | 학위 | 논문제목 |
---|---|---|---|
윤정현 (Yoon, Jung Hyun) | 전재성 | 외교학박사 | 아세안의 신흥안보 거버넌스: 싱가포르의 다층적 전략을 중심으로 |
2018. 8 졸업생
이름 | 손정욱 (Son, Jung Wook) |
---|---|
지도교수 | 박종희 |
학위 | 외교학박사 |
논문제목 | 노동시장 이원화와 반응성의 정치: 탈산업화 사회 정당체제와 중도정당의 역할 |
이름 | 지도교수 | 학위 | 논문제목 |
---|---|---|---|
손정욱 (Son, Jung Wook) | 박종희 | 외교학박사 | 노동시장 이원화와 반응성의 정치: 탈산업화 사회 정당체제와 중도정당의 역할 |